본문 바로가기
자기개발/Coffee

로스팅 색도계로 로스팅 후 원두 색도 측정

by 허당건선생 2024. 1. 26.
반응형

로스팅 후 색도 측정

로스팅 후 색도 측정의 목적은 커피원두 겉면과 속이 골고루 로스팅 되었는지확인하기 위한 색도 측정에 있다.
방법은 WB(:whole bean)과 RGB(:roasted grind bean) 두 종류로 나눠서 재준다.

Whole bean 측정

색도계 트레이에 담고 자로 꾹꾹 눌러주며 수평을 만들어준다.



CAL으로 설정하여 영점조절 검정 패드에 대고 영점을 맞춰준다.


(영점 맞추는 중)



MSR을 선택한다.



Whole bean 선택한다.



영점을 맞췄으면 MSR(mesure)로 설정하고 Whole bean 선택 후 색도를 측정한다.

총 3번을 측정해 주게 되는데 한번재고 원형 트레이를 한번 잴 때마다 45도 각도씩 돌려주면 된다 그러면 최종 평균 색도가 측정된다.


WB(whole bean): 62.7



Whole bean 색도를 측정했으니 생두가 겉면만 탄게 아니라 속 안에까지 잘 익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갈아서 grind bean 색도도 측정해 줄 거다.


Grind bean 측정

(커피 가는 중)

그라인드 크기는 레벨 7로 해준다. 핸드드립 그라인드 크기와 같다.



자를 이용해서 grind 된 커피를 평평하게 펴준다.


(색도 측정 중)


RGB: 72.8


국가: 에티오피아
등급:G1
지역: 예가체프 아리차
프로세싱: 내추럴 방식
로스팅 일자: 2024.01.22.
WB: 62.7
RGB: 72.8

위처럼 커피 담은 봉투 겉면에 적어준다.





반응형